장비통합 검색/신청

장비통합 검색

유형별 장비검색 입력폼
보유기관
탄소공정
5대수요산업
6대 탄소소재
전체 378 페이지 22 / 48
게시물 리스트 갯수 설정
  • 시험/평가 제우스2
    한국생산기술연구원저온·고온 자동충격시험기
    본 장비는 금속재료의 충격시험을 주목적으로 하며, EN 10045, ASTM E23, BS 131-part1 규격에 따라 750J까지 샤르피 충격 시험 및 ISO14556 표준에 따라 계장화 충격시험을 할 수 있도록 디자인 되어 있어야 한다. 본 장비는 샤르피 충격시험(Charpy Impact Test), 아이조드 충격시험(Izod Impact Test), 계장화 충격시험(Instrumented Impact Test), 브루거 충격시험(Brugger Impact Test), 충격 인장시험(Impact Tension Test), 웨지 충격시험(Wedge Impact Test)을 옵션 사양으로 가능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본 장비는 충격 에너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충격에너지 표시는 아날로그 게이지 및 PC 소프트웨어를 통해 표시되어야 한다. 본 장비를 통하여 충격시험을 진행하는 동안 하중-시간 그래프를 얻을 수 있어야 하며, 이를 통하여 특정 위치에서 하중(Py, Pm) 및 초기파단에너지(Ei), 파단증식에너지(Ep), 총파단에너지(Et)를 분석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야 한다. 본 장비의 기초는 해머 용량은 40배 이상 되어야 한다. 기기 안전을 위하여 CE 마크가 제출되어야 하고, 안전을 고려하여 본 장비는 투명안전장치로 전 영역이 커버되어야 하며, 안전커버의 문이 열리면 해머가 동작을 멈추어야 한다. 버튼 하나로 시험편의 온도조절, 자동시편공급, 자동시편 센터링, 시험편의 배출까지 일련의 동작이 자동으로 완료되어야 한다.
    2022-06-28
    MORE VIEW
  • 시험/평가 제우스2
    다이텍연구원열특성 변형 만능시험기
    * 제품사양 - Load cell : 100~250kN - Crosshead speed range : 0.0005 to 500mm/min - Grip type : 유압식 wedge, manual - Temperature chamber : ~+400℃ - Chamber Inner Dimensions : W400*D542*H850 - Vedio Extensometer : TRView X 240S
    2022-07-27
    MORE VIEW
  • 시험/평가 제우스2
    한국생산기술연구원마이크로분말 입도분석기
    1.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alysis ranging from 0.017?m to 2000?m based on Laser Diffraction Method. 2. A variety of optical models available : Fraunhofer approximation, Mie theory and PIDS(Polarization Intensity Differential Scattering). 3. Flagship multi-wavelengths system (450, 600, 780, 900nm) allowing for a complete solution to the problem of sub-micron sizing. 4. 132 detector elements and 124 size classes for high resolution and sensitivity. 5. PIDS system for high accuracy in the sub-micron region by taking 42 individual detection measurements for this region alone. 6. X-shaped detector array allowing for the most accurate scattering patterns. 7. Automatic alignment using over 30 detector elements and dark field reticle for high reproducibility. 8. Multiple sample handling modules for dry powder, aqueous or solvents and minute sample volume are available for various applications.
    2022-06-28
    MORE VIEW
  • 성형 제우스2
    한국생산기술연구원진공 핫 프레스
    ○ 핫프레스는 분말 소결공정중에 필요한 핵심 설비 중 하나로 고밀도 고강도 소결체를 얻을 수 있는 대표적인 장비이다. 또한 소결 온도 이하에서 소결 공정을 완성할 수 있어 입자성장을 억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가압에 의한 높은 소결 구동력으로 기공을 모두 없앨 수 있음. - 소결 첨가제를 완전히 제거하거나 그 첨가제를 최소화 할 수 있음. - 소결 중 시편의 분해를 막을 수 있음. - 소결체의 특성이 가압 방향(일축 방향)에 따라 방향성을 가지게 됨.
    2022-06-28
    MORE VIEW
  • 가공 제우스2
    한국생산기술연구원Direct-Pump 방식 워터젯 정밀절단 시스템
    - 가공소재를 워터 탱크내 설치된 선반위에 놓고 외형 고정재를 이용하여 가공소재를 움직임을 제어함. - 가공소재 위에 워터젯 노즐을 설치하여 수직 설치가 가능하도록 재교정 작업 수행 - PC와 인터페이스를 통해 워터젯 본체의 교정 및 장비 교정 수행 - PC에 가공 범위를 설정함 - 가공 조건 설정을 통해 가공 속도를 변경함.
    2022-06-28
    MORE VIEW
  • 시험/평가 제우스2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열충격 시험기
    급격한 온도변화에 의한 온도충격시험을 위해 Basket이 이동하는 Transfer 방식의 시험기를 사용함. 고온존과 저온존으로 구성되며 -70℃ ~+200 ℃의 온도범위에서 급격한 변화를 주어 항공전자 제품 및 부품의 신뢰성을 시험하는 장비. 열충격시험을 통해 시료의 변형, 파괴, 표면 코팅의 균열, 밀봉손상, 전기 및 전자부품의 특성변화, 기계적 고장을 측정
    2022-06-28
    MORE VIEW
  • 제우스2
    한국생산기술연구원액체크로마토그래피
    (장비 설명) - 유기 분자 중 구조상 흡광 광도계 및 굴절률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물질의 분리 분석 혹은 합성 화합물의 분자량 확인 등을 구현하기 위해 기존 HPLC 시스템을 기반으로 분리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질량 분석기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장비 (주요 조건) - 주요 용리액 : Acetonitrile, Methyl alcohol, Water - 주요 구성 시스템 : 역상(Reverse phase) - 주요 검출기 : DAD (Diode array detector), ESI-MS (mass spectrometer) (사용 예 및 활용 분야) - 대상 시료 >> 분자량 확인이 필요한 유기 합성 화합물 >> 잔류 유기성 오염물질(POPs)의 정량 분석 - 활용분야 >> 의약품 혹은 합성 화합물의 분자량 확인 >> 저분자(분자량 2000미만)의 정성 및 정량분석 >> 유해물질 및 국제적 관심대상 물질의 검출 (과불화합물, 알킬페놀에톡시화물, 계면활성제 등) >> 관련 시험 규격 : KS M 0033, KS M 9722, KS K ISO 18254-1, KS K ISO 18254-2 등 >> 재직자 대상의 교육사업 활용 장비 - 장비운영/시료 전처리 >> 일반 시료의 경우 초기 조건의 이동상에 녹여서 분석 >> 유해 물질의 경우 반응 시약을 첨가하여 유도체화법으로 관찰하거나, 추출한 여액을 활용
    2022-06-28
    MORE VIEW
  • 소재 제우스2
    한국생산기술연구원피치섬유 안정화장치
    (1) 안정화장치 원리 피치 방사 후 섬유화를 위해서는 300도 이상 5~6시간의 안정화 과정이 필요. 이를 위해 피치 방사가 끊임없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파우더 및 Pellet type 모두 방사 가능한 Extruder가 필요로 하다. (2) 특징 본 구축 장비는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을 가져야 함 - Barrel size를 최소화하여, 지속적인 원료 feeding이 가능해야 함 - Screw 회전에 의해 종류에 상관없이 원료가 진행방향으로 운송되어야 함 - 최소 300도 이상의 작업 온도 필요 - Powder 및 Pellet 모두 투입할 수 있는 Feeder zone이 존재해야 하며, 과열방지를 위해 cooling line을 필히 요함 - Mixing property 향상을 위해 최소 400 rpm 이상의 screw 속도 필요 - 220V 의 Power를 필요로 하며, 60 Hz의 power supply 필요 - 이 장비의 정확도는 +/-2C or +/-2% 이여야 함 - 이 장비의 torque는 100 Bar 이상이어야 함 - 1회 feeding 시 자동화를 위해 5 Liter 이상의 Hopper 필요 - Cleaing을 위해 분해가 편리해야 함 - 고온작업 안정성을 위해, 냉각수라인 연결이 필요함 - 고정작업을 해야함으로 Bench top 방식으로 제작되어야 함 - 작업편리성을 위해 Control panel이 필요로 함 - 이 장비는 최소 1000 mm 이상의 length를 필요로 함
    2022-06-28
    MORE VIEW